맨위로가기

유고슬라비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고슬라비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유고슬라비아를 대표하여 국제 아이스하키 대회에 참가했다. 1964년 인스브루크 동계 올림픽에서 처음으로 올림픽 본선에 진출하여 14위를 기록했으며, 1968년 그르노블 동계 올림픽에서 9위, 1972년 삿포로 동계 올림픽에서 11위, 1976년 인스브루크 동계 올림픽에서 10위를 기록했다.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 예선 탈락 이후 해체되었으며, 그 기록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이 승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 캐나다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캐나다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에서 다수의 금메달을 획득한 아이스하키 강국으로, NHL 선수들의 참가 허용 여부에 따라 국제 대회 성적 변화를 겪으며 세계 최정상급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 러시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러시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소련 시절 국제 무대에 데뷔하여 세계 선수권 대회와 올림픽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으나,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국제 아이스하키 연맹에 의해 모든 대회 참가가 중단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협회유고슬라비아 아이스하키 연맹
별칭해당 없음
IIHF 코드YUG
코칭 스태프
감독해당 없음
보조 코치해당 없음
단장해당 없음
선수
주장해당 없음
최다 출전에도 하프네르 (203)
최고 득점자해당 없음
최다 득점즈보네 슈바크 (202)
유니폼 정보
색상해당 없음
유니폼 디자인해당 없음
첫 경기 및 마지막 경기
첫 경기루마니아 0–1 유고슬라비아
(류블랴나, 유고슬라비아 왕국; 1934년 1월 30일)
마지막 국제 경기오스트리아 14–0 유고슬라비아
(클라겐푸르트, 오스트리아; 1992년 4월 12일)
최고 및 최저 기록
최대 승리유고슬라비아 28–1 벨기에
(코펜하겐, 덴마크; 1987년 3월 28일)
최대 패배체코슬로바키아 24–0 유고슬라비아
(취리히, 스위스; 1939년 2월 3일)
세계 선수권 대회
출전 횟수29회
첫 출전1939년
최고 성적8위 (1974년)
유럽 선수권 대회 및 월드컵
출전 횟수3회
첫 출전1939년
최고 성적7위 (1968년)
올림픽
출전 횟수5회
첫 출전1964년
메달해당 없음
관련 정보
참고 자료http://sochi2014.iihf.com/men/news/slovenia-yugoslavia/

2. 올림픽 기록

유고슬라비아는 1920년 하계 올림픽에 처음으로 아이스하키 종목에 참가할 예정이었으나, 국가대표팀 창설 이전으로 참가가 무산되었다. 이후 1936년 동계 올림픽과 1948년 동계 올림픽에는 불참하였고, 1952년, 1956년, 1960년 동계 올림픽에는 예선 탈락으로 본선에 진출하지 못했다.

1964년 인스브루크 동계 올림픽에 처음으로 올림픽 본선에 진출하여 14위를 기록했다. 이후 1968년 그르노블 동계 올림픽에서는 9위, 1972년 삿포로 동계 올림픽에서는 11위, 1976년 인스브루크 동계 올림픽에서는 10위를 기록했다. 1980년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올림픽과 1988년 캘거리 동계 올림픽에는 예선 탈락하여 테이어 터트 트로피와 1988년 테이어 터트 트로피에 참가했다.

1984년 사라예보 동계 올림픽에서는 11위를 기록했다.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에는 예선 탈락하였고, 이후 대표팀은 해체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의 올림픽 기록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가 승계했다.

1984년 올림픽 유고슬라비아 아이스하키 팀 장비


올림픽경기득점실점코치주장최종 순위순위
1964년 인스브루크83143051??컨솔레이션 라운드14위
1968년 그르노블65013520??컨솔레이션 라운드9위
1972년 삿포로50141025??컨솔레이션 라운드11위
1976년 인스브루크63032627??컨솔레이션 라운드10위
1984년 사라예보5104837슈테판 세메?1라운드11위


2. 1. 개요

2. 2. 상세 기록

유고슬라비아는 1920년 하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1924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1928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1932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에는 국가대표팀 창설 이전으로 참가하지 않았으며, 1936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1948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에는 불참했다. 1952년, 1956년, 1960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에는 예선에서 탈락했다. 이후 유고슬라비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해체되었으며, 세르비아 몬테네그로가 그 지위를 승계했다.

올림픽경기득점실점코치주장최종 순위순위
1964년 인스브루크83143051??컨솔레이션 라운드14위
1968년 그르노블65013520??컨솔레이션 라운드9위
1972년 삿포로50141025??컨솔레이션 라운드11위
1976년 인스브루크63032627??컨솔레이션 라운드10위
1980년 레이크플래시드예선 통과 실패, 테이어 터트 트로피 참가.
1984년 사라예보5104837슈테판 세메?1라운드11위
1988년 캘거리예선 통과 실패, 테이어 터트 트로피 참가.



개최 연도대회순위
1964년인스부르크 올림픽14위
1968년그르노블 올림픽9위
1972년삿포로 올림픽9위
1976년인스브루크 올림픽9위
1984년사라예보 올림픽9-12위


3. 세계 선수권 대회 기록



유고슬라비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1939년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에 처음 출전하여 13위를 기록했다. 이후 1951년 대회에서는 B 풀 6위, 1955년 대회에서는 B 풀 5위를 기록했다. 1961년 대회에서는 C 풀 3위를 기록하였고, 이후 1963년 대회에서 B 풀 5위, 1965년 대회에서 B 풀 7위, 1966년 대회에서 B 풀 3위, 1967년 대회에서 B 풀 4위를 기록했다. 1969년 대회에서는 B 풀 3위를 기록했고, 1970년대에도 꾸준히 B 풀에서 활동했다. 1979년 C 풀에서 1위를 차지하여 B 풀로 승격하였고, 1980년대에도 B 풀과 C 풀을 오가며 활동했다. 1990년에는 C 풀에서 다시 1위를 차지하여 B 풀로 승격하였다.

3. 1. 개요

3. 2. 상세 기록



유고슬라비아는 1939년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에서 13위를 기록했다. 이후 1951년 대회에서는 B 풀 6위, 1955년에는 B 풀 5위를 기록했다. 1961년에는 C 풀 3위를 기록했고, 1963년 B 풀 5위, 1965년 B 풀 7위를 기록하였다. 1966년에는 B 풀 3위, 1967년 B 풀 4위, 1969년 B 풀 3위, 1970년 B 풀 4위, 1971년 B 풀 5위, 1972년 B 풀 6위를 기록했다. 1973년에는 B 풀 3위, 1974년 B 풀 2위를 차지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1975년 B 풀 4위, 1976년 B 풀 5위, 1977년 B 풀 7위, 1978년 B 풀 8위를 기록했다. 1979년에는 C 풀 1위를 차지하여 다시 B 풀로 승격하였다.

1981년 B 풀 7위, 1982년 C 풀 2위, 1983년 B 풀 8위, 1985년 C 풀 2위, 1986년 B 풀 7위, 1987년 C 풀 4위, 1989년 C 풀 2위, 1990년 C 풀 1위를 기록했다. 1991년에는 B 풀 6위를 하였다.

년/월/일장소득실점
국제 경기 첫 출전1934년 1월 30일유고슬라비아 왕국, 류블랴나유고슬라비아 0 루마니아 1
최다 점수차 승리1987년 3월 28일덴마크, 코펜하겐유고슬라비아 28 덴마크 1
최다 점수차 패배1939년 2월 3일스위스, 취리히유고슬라비아 0 체코슬로바키아 24
국제 경기 마지막 경기1991년 4월 7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류블랴나유고슬라비아 3 네덜란드 1


4. 테이어 터트 트로피 기록

wikitable

경기GP득점실점감독주장최종 순위순위
1980년 류블랴나92343219??챔피언십 라운드#REDIRECT
1984년 브리앙송, 갸프, 그르노블, 빌라르 드 랑1984년 동계 올림픽 개최로 불참.
1988년 아인트호벤 및 틸부르흐63122522??5위 결정전5위


5. 유럽 선수권 대회 기록

유고슬라비아는 1939년 유럽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에 처음으로 참가하여 11위를 기록하였다. 1964년 대회에서도 11위를 기록하였고, 1968년 대회에서는 7위를 기록하였다.

6. 선수 기록

wikitable

최다 출장
#성명연도출장어시스트포인트
1에도 하프네르1975–198520379108187
2고라스트 히티1971–19841919487181
3로만 스몰레이1966–197817964102166
4루디 히티1967–19821778482166
5빅토르 티슐라르1961–19771758159140
6보고 얀1961–1975159413879
7즈보네 슈바크1978–199215512973202
알빈 펠츠1961–19791558291173
9드라고 사비치1971–1980153225981
10도미네 로모우셰크1981–1992148000



최다 골
#성명연도출장어시스트포인트
1즈보네 슈바크1978–199215512973202
2고라스트 히티1971–19841919487181
3루디 히티1967–19821778482166
4알빈 펠츠1961–19791558291173
5빅토르 티슐라르1961–19771758159140
6에도 하프네르1975–198520379108187
7로만 스몰레이1966–197817964102166
8실보 폴랸셰크1971–19791206258120
9무스타파 베시치1980–19911295584139
10페테르 클레멘츠1977–19881225266118



최다 포인트
#성명연도출장어시스트포인트
1즈보네 슈바크1978–199215512973202
2에도 하프네르1975–198520379108187
3고라스트 히티1971–19841919487181
4알빈 펠츠1961–19791558291173
5루디 히티1967–19821778482166
로만 스몰레이1966–197817964102166
7빅토르 티슐라르1961–19771758159140
8무스타파 베시치1980–19911295584139
9실보 폴랸셰크1971–19791206258120
10페테르 클레멘츠1977–19881225266118


6. 1. 최다 출장 기록

최다 출장
#성명연도출장어시스트포인트
1에도 하프네르1975–198520379108187
2고라스트 히티1971–19841919487181
3로만 스몰레이1966–197817964102166
4루디 히티1967–19821778482166
5빅토르 티슐라르1961–19771758159140
6보고 얀1961–1975159413879
7즈보네 슈바크1978–199215512973202
알빈 펠츠1961–19791558291173
9드라고 사비치1971–1980153225981
10도미네 로모우셰크1981–1992148000



최다 골
#성명연도출장어시스트포인트
1즈보네 슈바크1978–199215512973202
2고라스트 히티1971–19841919487181
3루디 히티1967–19821778482166
4알빈 펠츠1961–19791558291173
5빅토르 티슐라르1961–19771758159140
6에도 하프네르1975–198520379108187
7로만 스몰레이1966–197817964102166
8실보 폴랸셰크1971–19791206258120
9무스타파 베시치1980–19911295584139
10페테르 클레멘츠1977–19881225266118



최다 포인트
#성명연도출장어시스트포인트
1즈보네 슈바크1978–199215512973202
2에도 하프네르1975–198520379108187
3고라스트 히티1971–19841919487181
4알빈 펠츠1961–19791558291173
5루디 히티1967–19821778482166
로만 스몰레이1966–197817964102166
7빅토르 티슐라르1961–19771758159140
8무스타파 베시치1980–19911295584139
9실보 폴랸셰크1971–19791206258120
10페테르 클레멘츠1977–19881225266118


6. 2. 최다 골 기록

'''최다 골'''
#성명연도출장어시스트포인트
1즈보네 슈바크1978–199215512973202
2고라스트 히티1971–19841919487181
3루디 히티1967–19821778482166
4알빈 펠츠1961–19791558291173
5빅토르 티슐라르1961–19771758159140
6에도 하프네르1975–198520379108187
7로만 스몰레이1966–197817964102166
8실보 폴랸셰크1971–19791206258120
9무스타파 베시치1980–19911295584139
10페테르 클레멘츠1977–19881225266118


6. 3. 최다 포인트 기록

'''최다 포인트'''
#성명연도출장어시스트포인트
1즈보네 슈바크1978–199215512973202
2에도 하프네르1975–198520379108187
3고라스트 히티1971–19841919487181
4알빈 펠츠1961–19791558291173
5루디 히티1967–19821778482166
로만 스몰레이1966–197817964102166
7빅토르 티슐라르1961–19771758159140
8무스타파 베시치1980–19911295584139
9실보 폴랸셰크1971–19791206258120
10페테르 클레멘츠1977–19881225266118


7. 주요 국제 경기

8.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300px


유고슬라비아의 해체 이후, 다음과 같은 국가대표팀들이 국제 대회에서 경쟁했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 크로아티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 북마케도니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 세르비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1992년부터 2006년까지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 슬로베니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